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상고대 꽃 피던날 가야산. 그리고 해인사
ropeman
2007. 11. 28. 00:02
.
~~화면을 중앙으로 맞추고 F11 을 꾹 눌러 주시고요
~~끝나면 다시 F11을 눌러서 복귀하세요~
~~스피커까지 켜셨으면.. 허접하지만..
~~그럼 시작합니다~^^
~~사진이 넘 크다면...전 모니터 설정을 1208*1024로 하고있습니다~
~~~~~F11을 누르지 않고서는 절대로 보기없기ㅎㅎ ~^^






2007.11. 11. 합천 가야산, 그리고 해인사
경상북도 성주군, 경상남도 합천군, 거창군에 걸쳐있는 명산이다.
가야산은 1972년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으며, 주봉인 칠불봉 (1,433m)과 상왕봉,
남산, 단지봉, 남산제1봉, 매화산등 1,000m내외의 연봉과 능선이 둘러 있다.
예로부터 조선팔경의 하나로 알려진 가야산은 산세가 변화무쌍하게 펼쳐진다




































































예전의 여행때을 생각하며 사진몇장 색감을 좀 바꿔봤습니다





대적광전은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화엄종 사찰의 중심 법당이다.
부처가 설법한진리가 태양처럼 우주에 가득 비추는 것을 형상화한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자체를 상징하는 불상이다

2중 기단과 3층의 탑신 및 지붕돌로 이루어진 통일신라 후기의 전형적인 양식의 석탑과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해인사 대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있는 고려시대의 목판 대장경. 국보 제32호.
대장경은 경(經)·율(律)·론(論) 3장(三藏)의 불교경전을 비롯한 불교관계의 책들을 모두 포함해서 말한다




해인사 대적광전 뒤쪽 높은 지대 위에 있는 조선 초기의 목조건물. 국보 제52호.
앞면 15칸, 옆면 12칸의 단층 우진각지붕 건물로 그 안에는 고려대장경이 새겨진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법보종찰 해인사는 신라 애장왕 3년(802년)에 순응,이정 두스님에 의해 창건된 고찰이다.
해인사는 "법보종찰"이러고 불리는데 이는 우리민족의 문화유산인 "고려 팔만대장경'을 모신 사찰이기 때문이다.
해인사의"해인"은 일렁임 없는 바다에 만물의 형상이 그대로 비치는것과 같이 번뇌가 없는 마음에는
만물의 이치가 그대로 드러난다는 의미로 화엄경의"해인삼매"에서 따온 이름이다.









|
출처 : 산 Click~!
메모 :